주택담보대출 기준인 LTV, DTI, DSR 용어 총정리
요즘처럼 집값이 부쩍 오른 시점에 새집을 구하기 위해서는 주택담보대출이 필수인데요. 주택담보대출 가능 한도를 알아보려 하는데, 갑자기 모르는 LTV, DTI, DSR 같은 부동산과 대출 관련 용어들이 튀어나오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집 알아보는 것을 시작하기도 전에 머리가 지끈지끈 아파오죠. 이런 용어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동산 주택담보대출을 받기 위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부동산 대출 관련 용어인 LTV, DTI, DSR에 대한 개념과 계산 방법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담보대출비율 LTV(Loan To Value) LTV(Loan To Value)란 '주택담보대출비율을 의미하는데요. 새로 구입하려는 집이나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때, 집의 자산가치를..
2022. 4. 29.
대지면적, 건폐율, 용적률, 연면적 알아보기
부동산 기사를 읽거나 뉴스를 시청하다 보면 건폐율, 용적률이란 단어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특히 재건축, 재개발과 관련해서 많이 나오는 용어인데요. 자연스럽게 대지면적과 건폐율, 연면적이란 말도 따라 나오기 때문에 한 세트처럼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건폐율, 용적률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건폐율과 용적률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면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대지면적 땅의 수평투영면적을 말하는데, 부동산에선 해당 건축물을 지을 수 있도록 허가된 땅의 크기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수평투영면적'이란 쉽게 말해, 하늘에서 내려다본 모양의 면적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건축선과 도로 사이의 면적이나..
2022. 4. 20.
공시지가, 기준시가, 실거래가, 그리고 시세, 개념과 차이
부동산에 관심을 갖고, 책이나 강의 등의 공부를 하다보면 여러가지 부동산 용어를 접하게 되는데요. 서로 비슷한 것처럼 보이는데, 개념이 전혀 달라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에서 부동산을 계량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준시가, 공시지가, 실거래가 등을 많이 듣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준시가, 공시지가, 실거래가의 개념과 각각의 용어들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시지가, 기준시가, 실거래가, 호가, 시세의 개념과 차이 실거래가 실거래가라는 것은 말 그대로 부동산이 실제로 거래된 가격을 의미합니다. 다른 용어들에 비해서는 가장 직관적이고, 부동산을 매매할때 가장 많이 쓰는 친숙한 용어죠. 실거래가는 취득세나 양도소득세, 증여 및 상속 등의 세금 계산에서 과세표준으로 쓰입니다. ..
2022.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