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 이야기/부동산 투자116 22년 1월 3일자 KB부동산 주간시계열 (KB통계) 부동산 비수기에 속하는 연말을 거쳐 2022년 연초가 시작되었습니다. 연말까지의 모습은 전반적으로 위축된 모습을 보여줬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승하는 모습에 대해서는 지난 포스팅에서 정리했듯이 크게 3가지로 요약되었습니다. 첫번째는 공급물량 부족으로 인한 상승이고, 두번째는 상승 흐름의 키 맞추기에 따른 상승, 마지막으로 풍선효과에 따른 지역의 상승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기억하시나요? 이번주는 그 흐름이 어떻게 바뀌었을까요? 오늘은 22년 처음 발표된 1월 3일자 KB부동산 주간시계열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먼저 요약표를 보겠습니다. (각 그림들은 클릭하시면 큰 사이즈로 보실 수 있습니다.) 금주 상승률 상위 지역을 보겠습니다. 창원과 강원이 상승이 눈에 띄는군요. 창원은 몇 주 동안에 연속하.. 2022. 1. 7. 2021년 11월 미분양 통계(국토부 통계누리 자료) 안녕하세요. 재테크 블로거 머니블루입니다. 국토부 통계누리에서 2021년 11월까지의 미분양 통계자료가 발표되었습니다. 원래 매월 1일날 발표를 하는데, 지난 달에 이어 약간씩 늦어지는 느낌입니다. 이번달은 연초라 그런걸까요?? 매번 볼때마다 아쉬움이 느껴지는게 발표하는게 1월인데, 작년 11월 자료를 봐야 된다는게 좀 안타깝습니다. 12월 정도는 되야 자료의 현장감이 느껴질텐요. 부족한대로 과거 자료를 통해서 추세를 읽을 수 있다는것에 만족해야 할것 같습니다. 전국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는 이 시점에서, 이번 자료에서는 어느 지역이 미분양의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전국을 월 단위로 2021년 한해 변화를 볼까요? 2021년 1월부터 미분양이 17,130.. 2022. 1. 4. 대출을 활용하자!! 토스 뱅크 안녕하세요. 재테크 블로거 머니블루입니다. 2022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경제적으로도 내년보다는 밝아야 될텐데 말이죠. 지난 해 후반부터 대출 총량 규제로 인해 많이 힘들던 한해였습니다. 투자자는 물론이고 실수요자조차도 은행에서 대출 총량 제한으로 인해 대출을 받기가 쉽지 않아서 결과적으로 집을 사는 것도 미루고, 다시 전세로 눌러 앉은 경우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2022년이 되면서 일단은 대출 총량이 리셋이 되는 효과로 인해서 은행들도 대출을 재개하고 있습니다. 없앴던 대출 우대 금리도 다시 부활하고 있죠. 올해 전세대출이나 주택담보대출이 필요하신 분들은 대출 총량이 여유가 있는 연초에 알아보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또 언제 제한이 걸려서 대출이 막힐지 모르니까, 6개월 이내 대출 실행 예정이라면 서.. 2022. 1. 3. 21년 12월 27일자 KB부동산 주간시계열 (KB통계) 오늘은 21년 마지막날 발표된 12월 27일자 KB 주간시계열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먼저 요약표를 보겠습니다. (각 그림들은 클릭하시면 큰 사이즈로 보실 수 있습니다.) 금주 상승률 상위 지역을 보겠습니다. 1위는 전라도 광주 남구입니다. 광주 남구는 서울의 강남과 같습니다. 더 정확히는 남구 봉선동이 서울 대치동에 가깝다고 해야 할까요? 학군지로 유명한 곳이라 실수요자가 늘 존재하는 곳입니다. 그래서 광주시민들의 최선호 지역이죠. 4위 역시 광주광역시입니다. 사실, 아래의 그림처럼 수도권에 속하는 인천을 제외한 5대광역시만 시계열 표를 확대해서 보면, 최근 다른 광역시들이 오를 동안에도 광주광역시는 거의 오르지 않고 있었습니다. 뒤늦게 상승이 시작된 것인데요. 확대해서 보는 것보다 광역시 각각.. 2022. 1. 2. 21년 12월 20일자 KB부동산 주간시계열 (KB통계) 오늘은 24일 크리스마스 이브날 발표된 12월 20일자 KB 주간시계열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먼저 요약표를 보겠습니다. 먼저, 매매상승 지역부터 볼까요? 이번주는 통합창원이 눈에 띄는 상승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난 주에는 성산구와 마산 합포구만 높은 상승률을 보여줬었는데, 상위에는 진입하지 못했지만, 시계열을 보면 진해구까지 성산구, 진해구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규제지역을 피해서 뒤늦게 영향받은 합포구의 강한 상승세가 마치 부메랑처럼 의창구로 다시 돌아오고 있는 느낌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 상승세가 심상치 않아 보이는데요. 실수요자라고 할 수 있는 전세증감도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수요자 기반인 전세지수가 상승하면서 하방을 견뎌주는 역할을 하게 되면, 실수요자.. 2021. 12. 26. 21년 12월 13일자 KB부동산 주간시계열 (KB통계) 이번 포스팅에서는 12월 13일자 KB부동산 주간시계열을 통해 한주 간의 흐름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은 KB 주간 시계열 파일에서 첫 화면에 나오는 표입니다. 해당 기간 동안 매매지수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순서로 10개 도시와 하락률이 가장 높았던 10개 도시를 보여줍니다. 마산합포구가 0.74로 가장 많이 상승했고, 그 밑으로 청주 서원구, 강릉 등 다양한 지역이 상승했습니다. 반면에 하락지역에서는 대구 서구, 달서구와 세종, 안양 동안구가 하락률 순위에 들었습니다. 이번에는 해당 기간동안 전세지수 상승율이 가장 높았던 순서로 10개 도시와 하락율이 가장 높았던 10개 도시를 보여줍니다. 마산합포구는 매매지수 상승률과 더불어 전세지수 상승률도 가장 높습니다. 조금 더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창원.. 2021. 12. 20. 2021년 10월 전국 미분양 아파트 지역별 현황 확인 이번 포스팅에서는 12월 1일에 올라온 21년 10월 미분양 통계 자료를 통해 전국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와 앞으로의 전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미분양 통계 자료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미분양 통계자료는 국토교통부에서 통계누리라는 사이트를 통해서 1개월 전까지의 전국 미분양 통계 자료를 취합하여 매월 말일 또는 익월 1일 날 배포하고 있습니다. 즉, 이번 달 12월 1일에 배포한다고 하면(사실 이번은 3일 저녁에나 배포했지만) 10월의 정보가 최신 정보로 올라오는 셈입니다. 상당히 늦죠?? 따라서, 이 자료를 활용해서 실제 투자를 한다면 타이밍을 놓치기 쉽습니다. 물론, 분위기 변화는 진행되는 시간이 있기에 투자 자체를 못하는 건 아니지만, 최선이 아닌 차선 이하의 선택지만.. 2021. 12. 4. 2021년 11월 29일자 KB 주간시계열 이번 포스팅에서는 10월 3일 KB자료로 올라온 11월 29일자 KB 주간 시계열을 통해 지난 한 주 동안의 지역별 부동산 시장의 변화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받는 방법은 첫 번째 글에서 말씀드렸죠? 시계열 자료는 대부분이 장시간의 연속적인 데이터 형태이다 보니 엑셀 파일로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파일을 열어보기 위해서는 엑셀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MS 오피스 엑셀 프로그램이 없으신 분은 폴라리스 오피스나 WPS 오피스 같은 무료 프로그램도 있으니 찾아서 설치하셔도 보기는 큰 무리는 없습니다. 파일 이야기로 돌아와서... 근데 파일이 어제 올라왔는데, 왜 날짜가 11월 29일자인 것에 대해서는 지난 글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지난주 화요일부터 금주 월요일까지 조사한 자료를 금주 금요일(12월 3일)에서야 .. 2021. 12. 4. 이전 1 ··· 10 11 12 13 다음 반응형